루닛이 세계 최대 의료시장인 미국에 자체 인공지능(AI) 솔루션 판매망을 확보하게 됐다. 또 다량의 데이터 확보로 솔루션 고도화도 앞두게 됐다.
의료 AI 전문 루닛(대표 서범석)은 미국 내 2000곳 이상 의료기관에 AI 솔루션을 공급하는 다국적 기업 볼파라 헬스 테크놀로지(Volpara Health Technologies)를 1억9307만달러(약 2525억원)에 인수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14일 이사회를 열고 볼파라 지분 100 percent를 인수하기로 의결했다. 이는 호주증권거래소(ASX)에 상장된 볼파라 주가를 주당 1.15 호주달러로 책정한 것으로, 전일 종가 기준 주당 0.78 호주달러에 프리미엄 47.4%를 붙인 가격이다. 전일 기준 볼파라 시가총액은 1억9332만 호주달러(약 1672억원)다.
루닛은 인수를 위해 외부 차입 등을 이용, 자금을 충당할 계획이다. 볼파라는 내년 2분기 이내로 주주총회를 열고 75% 동의를 얻어 최종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합병 완료까지 약 3~6개월이 걸릴 전망이다. 루닛은 최종 인수 이후 자원 효율화 및 사업개발 집중을 위해 호주 시장에서 볼파라를 상장 폐지할 예정이다.
한편 볼파라는 지난 2009년 뉴질랜드 웰링턴에 설립한 유방암 검진 특화 AI 플랫폼 기업이다. 미국 시애틀에 사무소를 두고 미국 내 임상 및 영업 활동을 진행 중이다. 실제 유방암 조기 진단을 위한 AI 플랫폼을 미국 시장에 집중 공급하고 있다.
미국 전체 유방촬영술 검진기관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의료기관이 볼파라 제품을 사용 중이다. 볼파라 전체 제품 5개 중 1개 이상을 사용하는 곳이 약 2000곳에 달한다. 지난해 기준 미국 내 시장점유율 42%를 차지할 정도다. 최근 5년간 연평균성장률(CACR)도 63%에 이른다.
회사 설립 후 줄곧 연구개발(R&D)에 집중, 다소 영업 손실이 발생했으나, 감소 추세라고 전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 “1~2년 안에 볼파라의 흑자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2년 뒤 루닛과 볼파라의 총 매출은 1000억원이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볼파라의 강점은 유방암 조기 진단과 검사 과정의 워크플로우 효율화를 가능케 하는 AI 솔루션이다. 특히 120건 이상의 특허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및 유럽 CE 인증 제품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서 대표는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건 데이터”라고 지적했다.
볼파라는 1억장에 달하는 서양권 여성의 유방촬영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다. 제품 개발을 위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객 동의를 얻는 등 법적 문제를 모두 해소했다.
루닛은 인수 후 볼파라의 도움을 받아 연간 약 2000만장 이상의 추가 데이터를 확보할 예정이다. 서범석 대표는 “기존 이미지 진단 정확도 95%에서 99.9%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루닛은 볼파라가 미국 내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내 볼파라 플랫폼 설치 기관을 대상으로 루닛 AI 솔루션을 추가 공급할 기회를 얻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볼파라 AI 플랫폼을 유통함으로써 매출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한편 현장에는 로저 앨렌 볼파라 비상임 이사와 데이비드 메초프레트 볼파라 글로벌 사업개발 부사장이 참여했다. 메초프레트 부사장은 “몇 년 전에 루닛 관계자들을 처음 만났는데, 그때부터 매우 강한 인상을 받았다”라며 “많은 곳에서 비슷한 제품을 내놓는 건 사실이지만, 루닛은 지속적인 연구실적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매우 차별적이라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영상으로 인사한 테리 토마스 볼파라 대표는 “볼파라 이사회는 이번 인수 계약이 주주들에게 최선의 이익이 된다는 견해에 만장일치로 동의해 이번 인수 제안을 받아들였다”라며 “양사가 암 검진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루닛의 볼파라 인수는 루닛이 미국시장에 진출하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자, 앞으로 루닛이 암 조기 진단을 위한 강력한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한편 인수가 완전히 확정된 것은 아니다. 뉴질랜드 정부의 승인과 75%이상 주주들의 승인을 확정해야 한다. 이미 30%가 넘는 주주들은 승인을 확정한 상태며, 이에 따라 내년 4월이면 모든 과정을 완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